‘스마트 신호운영 시스템’ 전국 확대 구축

국토부, 스마트교차로 1224곳 등 구축 예정
뉴스일자:2021-05-04 13:24:27

▲국토부는 ‘스마트 신호운영 시스템’을 전국으로 확대 구축하기로 했다. <출처 : 국토교통부> 

 

정부가 이달부터 전국 주요국도 및 도시부에 스마트 신호운영 시스템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하반기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교차로 소통개선 및 사고감소 효과가 큰 스마트 신호운영 시스템을 전국 주요 국도 및 도시부에 확대하는 사업을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착수한다고 2일 밝혔다.

 

스마트 신호운영 시스템은 교통량에 따라 실시간으로 신호를 최적 제어해 정체를 최소화하여 차량흐름을 원활히 하거나, 소방차 등 긴급차량에 우선 신호를 부여하는 등 교통체계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똑똑한 신호운영체계를 말한다.

 

평상시에는 주도로의 통행 신호를 우선 부여하고, 부도로의 좌회전 차량을 감지한 경우에만 신호를 부여하는 신호체계로 불필요한 신호 대기시간을 줄여 소통상황의 개선과 신호위반 감소에 효과가 있다

 

긴급차량의 목적지를 사전에 공유하고 긴급차량의 이동경로에 따라 교차로 신호를 일시적으로 제어하여 우선 통행할 수 있도록 맞춤형 신호를 부여하여 사고처리 시간 단축 및 골든타임 확보에 효과가 있다. 교차로의 방향별, 차종별 정보를 추출하여 생성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 신호를 산출하여 실시간 반영하는 방식으로, 교통량이 많은 시간대(첨두시, peak time)와 그렇지 않은 시간대가 큰 주요 도로의 교통흐름 개선에 효과가 있다.

 

국토부는 2020년까지 감응신호시스템 509개소, 긴급차 우선신호시스템 44개소, 스마트 교차로 746개소를 추진했고, 운영결과를 분석한 결과 교통소통 향상, 신호위반 감소 등에 가시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올해부터 전국 주요 교차로를 대상으로 신호운영체계 개선을 대폭 확대해 추진 중이다

 

특히, 올해에만 전국 국도 및 지자체 403개소에 감응신호, 19개 지자체 372개소에 긴급차 우선신호, 31개 지자체 1224개소에 스마트 교차로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도 감응신호시스템 기본계획 수립연구를 통해 중장기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신기술 도입, 국토부·지자체·경찰청 등 기관 간 협업체계 개선을 통한 향후 지속가능한 운영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주현종 국토부 도로국장은 빅데이터·센서·통신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신호운영체계는 교통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안전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면서 이처럼 국민체감효과가 큰 스마트 신호시스템 사업을 지속 확대하고, 지능형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사업에 인공지능(AI)·첨단센서 등 신기술을 적극 도입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