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촌 대중교통전용지구 조감도/자료=서울시] 신촌 연세로가 서울 시내 첫 대중교통전용지구로 개통되, 일반차량은 진입하지 못하게 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오는 1월 6일, 신촌 연세로(신촌 지하철역~연세대 정문) 550m 구간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을 완료하고, 이 날 정오부터 시내버스 11개, 마을버스 3개 노선이 통행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앞으로 '신촌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는 보행자를 비롯해 16인승 이상 승합차·긴급차량·자전거만 다닐 수 있으며, 보행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버스를 포함한 모든 차량이 30km/h 이하로 통행해야 하는 'Zone30'으로 운영된다.
2012년 7월, 서울시는 신촌 연세로를 대중교통전용지구 시범 사업지로 선정하고, 2013년 9월부터 3개월 간 조성공사를 진행했다. ‘신촌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는 연세대와 신촌역 방면으로 각각 편도 1차선이 운영된다. 공사가 마무리되면서 그동안 인근 양화로 등으로 우회 운행했던 시내버스 11개 노선과 마을버스 3개 노선, 버스정류소 3개소도 이전과 같이 정상 운행된다.
대중교통전용지구 운영으로 일반 차량은 24시간 연세로 진입이 불가능하다. 다만 ‘택시’의 경우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한 시간대인 자정~04시까지 통행이 허용된다. 또한 연세로 내 상가 영업을 위해 통행이 불가피한 조업차량은 허가받은 차량에 한해 일부 시간대(10~11시, 15~16시) 통행할 수 있으나, 도로 상 주정차는 금지된다. 아울러 서울시는 신촌 지하철역, 연세대 등 인근 단거리 통행자에게 이동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향후 공공자전거도 도입하여 생활권 단위의 자전거 이용 활성화 또한 유도할 계획이다. 한편, 지금까지 신촌 연세로는 많은 보행자 수에 비해 보도 폭이 좁고, 각종 장애물로 인해 걸어 다니기에 다소 불편한 환경이었으나 이번 공사로 인해 보행환경이 대폭 개선됐다. 먼저 기존에 3~4m였지만 각종 장애물로 실제 보행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은 1~2m 정도에 불과했던 보도가 최대 8m까지 대폭 늘어났고, 곳곳에 보행을 방해하던 장애물도 말끔히 정리돼 편안한 보행공간을 제공하게 됐다. 게다가, '오아시스(Oasis) 0.5'라는 컨셉으로 명물거리 사거리에 광장과 쉼터를 조성하여 보행자가 쉬고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으며, 향후 문화행사를 활발히 개최하여 대표적 문화공간으로 꾸려나갈 계획이다.
서울시와 서대문구청은 이번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을 통해 신촌 연세로를 서울을 대표하는 젊음의 거리로 부흥할 수 있도록 각종 문화행사를 개최하고, 지역 활동가들이 자발적으로 지역 고유의 문화를 정착시켜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서울 시내 첫 시범사업인 신촌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면 앞으로 시내 다른 지역으로도 대중교통전용지구가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