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미래=김현우 기자] 정부가 혁신도시를 활성화하기 위해 2022년까지 입주기업을 1000개 사로 늘리고 고용인원은 2만 명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부는 지난 27일 제15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혁신도시를 새로운 지역 성장거점으로 육성한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 ‘혁신도시 시즌2’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혁신도시 기업 입주 및 창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부산(동남동·문현동·센텀시티), 대구(동구 신서동), 광주전남(나주시 금천면·산포면), 울산(중구 우정동), 강원(원주시 반곡동), 충북(진천군 덕산면·음성군 맹동면), 전북(전주시 만성동·완주군 이서면), 경북(김천시 율곡동), 경남(진주시 충무공동), 제주(서귀포시 서호동) 등 10개 혁신도시를 ‘기업이 일하기 좋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기업 입지 및 지원 시스템 구축과 지속 가능한 산학연 생태계를 조성키로 했다.
정부에 따르면 10개 혁신도시는 이전 대상 공공기관 113개 중 110개 기관이 이전을 완료(97.3%, 3만8000명)하고 도시의 모습을 갖춰 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기업, 연구소 등의 집적이 부족하여 산학연 생태계가 갖춰진 성장거점으로서의 역할은 미흡한 상황이다.
혁신도시 거주 인구는 공공기관 입주가 본격 시작된 2014년 이래 5만9000명에서 2018년 6월, 18만2000명으로 3배 이상 증가했지만 입주기업은 639개사, 고용인원은 1만1000명에 불과하고 이들 대부분은 지역 내 중소기업이 이동한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 대학 등 집적을 위한 혁신도시 내 산학연 클러스터 용지 입주는 계획면적 대비 20%에 그치며, 특히 부산, 대구, 광주전남 등 대도시 인접 혁신도시를 제외한 나머지 혁신도시는 입주기업 수가 현저히 적어 활성화가 시급하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창업기업 수도 20개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혁신도시 기업입주와 관련한 부적절한 규제를 개선하고, 기업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역 성장거점으로서 혁신도시에 기업 집적을 촉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