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미래=조미진 기자] 국토교통부가 자율주행차 기술개발을 위한 데이터 공유센터를 경기 화성 ‘K-시티’ 내에 구축하고, 산·학·연 협의체도 발족한다.
13일 국토부에 따르면 협의체에는 자율주행차와 기반시설(인프라)·통신 등 관련 기술을 개발 중인 14개 기업, 3개 대학, 3개 연구기관 등 총 20개 기관이 참여한다. 오는 14일 16시에 개최될 협의체 발족식에서 참여기관들은 데이터 공유·공동프로젝트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참여 기관은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SKT, KT, LG전자, 만도, 프로센스, 소네트, 웨이티즈, 모빌테크, 카네비컴, 아이티텔레콤, 디토닉, 모라이 등 이며, 대학교는 서울대(이경수 교수), 연세대(김시호 교수), KAIST(금동석 교수)이다.
연구기관으로는 한국교통안전공단(자동차안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차부품연구원이 참여한다.
국토부에 따르면 자율주행을 위해 다양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한 데이터가 필수적이다. 주행 중 자전거를 인식하고, 자전거 형태를 데이터화해 인공지능 학습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과 같다.
지난 11월말 현재 자율주행차 53대가 시험운행 해 데이터를 축적했으며, 합산 누적주행거리는 약 48만km에 달한다.
기업·대학 등이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축적한다면 시간·비용의 중복투자는 물론, 데이터의 절대량도 상대적으로 부족해져, 국토부는 산·학·연 간 협력을 위해 10억 원을 투입해 전산시스템 등을 갖춘 데이터 공유센터를 구축했다.
데이터 공유센터에서 기업·대학 등은 인공지능 학습용 자율주행 영상, 주요 상황과 대응방법(시나리오) 등을 공유하게 되며, 현대자동차 등 선도기업은 후발 중소기업에게 기술자문도 제공한다.
또 웹사이트를 통해 외부에서 데이터 업로드·다운로드가 가능 하며, K-City 내 시험운행 차량의 데이터 수집·분석도 지원 모듈러(공장조립) 방식으로 건축돼 향후 저장 데이터 증가에 따른 증축·확장 용이하다.
국토부는 내년에도 예산 10억 원을 투입, 공유용 데이터를 생산·제공하고, 데이터 표준화도 추진해 효율적 기술개발을 유도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 10일 준공한 ‘K-시티’와 함께 데이터 공유센터가 자율주행차 기술개발의 중심이 될 것”이며, “앞으로도 지속 투자를 통해 확대·발전시켜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데이터 공유센터를 통해 자율주행차, 핵심부품, 통신, 기반시설(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대학이 모여 새로운 시도와 비즈니스모델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