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미래=정범선 기자] 정부가 생활SOC 복합화 대상시설 10종을 선정하고 지자체별 물량을 가배분함에 따라 고양시도 주민 숙원 해결을 위한 생활SOC 공모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고양시는 가배분된 27건의 시설을 활용해 총 4개 복합시설, 600억 원 규모의 사업을 신청할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이들 시설들은 예산상 한계에 가로막혀 오랫동안 추진되지 못했던 주민 숙원사업이다.
가배분된 생활SOC 복합화 물량은 총5종·27개소이며, 정부는 가배분 물량의 범위 내에서 지자체의 사업계획서를 검토해 최종적으로 국비 지원 여부를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생활SOC 복합화 대상시설 10종에는 국민체육센터, 공공도서관, 작은도서관, 생활문화센터, 주거지 주차장, 국공립 어린이집, 공동육아 나눔터, 다함께 돌봄센터, 주민건강센터, 가족지원센터가 해당된다. 한 부지에 복합화 대상 10종에 해당되는 시설을 2종 이상 연계하는 것으로 이 경우 국고보조율을 10%p 상향(현행 대비) 지원받을 수 있다.
신청 사업에는 당초 도서관으로 계획되어 온 원흥도서관 부지에 도서관과 국민체육센터가 결합된 복합문화공간 조성이 포함될 예정이다.
원흥지구에 위치한 대상지는 주민 수요에 비해 생활 편의시설이 부족해 오래 전부터 지역주민들로부터 생활편의시설 설치 요구가 높았던 지역이다. 시는 이 지역에 복합문화시설이 입지할 경우 주민들의 복지수준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생활SOC사업 가배분만으로는 아직 시설입지가 결정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부 지침에 의한 시설복합화 계획서를 충실하게 작성해 정부 균형발전위원회의 최종 선정절차를 통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의 생활SOC 복합화사업 선정절차는 오는 8월2일까지 정부 균형발전위원회에 접수된 신청 사업을 대상으로 사업 선정위원회를 거쳐, 9월 말 최종 생활SOC 복합화사업 대상이 선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