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 에너지소비총량 평가 개념/자료=국토교통부]
에너지절약을 위한 신축 건축설계 실무교육이 전국에서 실시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건축물 에너지소비총량 평가 실무교육을 8~10월 전국에서 실시한다고 밝혔다.
에너지소비총량 평가는 건축허가시 제출하는 에너지절약계획서의 핵심 사항인 에너지소요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설계자가 건축·기계·전기 부문별로 향, 면적 등 설계요소를 입력하면 국제표준에 따라 제작된 전산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에너지소요량이 산정된다.
국토부는 2017년 업무시설, 2018년 교육연구시설 등 자동화된 에너지소비총량 산정 방식으로 전환해 앞으로도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교육은 8월부터 10월까지 총 6회에 걸쳐 전국 권역별로 에너지총량 평가 전문실습을 중점적으로 진행하며, 교육 대상은 에너지성능 평가에 관심있는 건축사, 시공사, 감리사, 대학생 등이다. 교육비는 전액 국비 지원된다.
교육생으로 선발되면 이틀 간 건축물 에너지소비총량 평가의 제도에 대한 이해와 실무능력 등 집중 실습교육을 받는다.
교육 희망자는 25일부터 온라인으로 신청서를 제출·접수 할 수 있으며, 한국에너지공단을 통해 자세한 사항을 알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건축물 에너지소비총량 평가 실무교육을 통해 녹색건축 관련 인력의 전문성 및 실무능력 배양 뿐 아니라 건축물 에너지성능 통합설계의 확산을 통해 효과적인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