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의 공공건설공사 원가 공개 방침에 건설업계가 좌불안석이다.
이재명 지사는 “도민의 알 권리와 공사비 부풀리기를 막기 위해 원가 공개를 추진한다”는 입장인 반면, 건설업계는 “과도한 영업비밀 노출”이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이 지사가 공공건설사업에 대한 원가자료를 공개하고 표준시장단가 적용을 추진하면서 건설업계의 반발이 거세다.<관련기사=이재명 지사 VS 건설업계 ‘충돌’/도시미래신문>
건설업계는 영업비밀 노출에 중소건설사의 피해가 예상된다며 반발했고, 이 지사는 건설업계에 공개토론을 제안해 관심을 모았다.
최근 건설업계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이재명 지사는 오는 9월부터 경기도와 직속기관이 발주하는 계약금액 10억 원 이상의 건설공사의 원가를 공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2015년 1월 이후 계약한 공공건설공사의 원가를 공개한다는 것인데, 경기도와 소속기관에서 실시하는 10억 원 이상 건설공사는 앞으로 설계내역서와 계약(변경)내역서, 하도급내역서, 원하도급대비표 등을 공개해야 한다는 방침이다.
문제는 관련업계에 따르면 2015년 이후 현재까지 경기도에서 체결된 10억 원 이상 공공건설공사는 모두 130여 건이 넘어 전체 사업비만 3000억 원에 달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 산하 기관인 경기도시공사의 건설공사 원가 공개도 추진한다는 계획인데, 지역 건설업계는 크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자재 구매 비용이나 하도급 업체 관리 등 건설사 영업 노하우가 공개될 수밖에 없다는 이유로 우려를 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