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확산 중인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한국과 프랑스 양국이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양국은 국가 간 협력, 정부와 지역사회의 소통과 협조를 통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라는 점에 의견을 모았다.
6일 국토교통부는 장-바티스트 제바리 프랑스 생태포용전환부 국무장관 요청으로 이날 오후 약 30분간 김현미 장관과 전화통화를 갖고 양국이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적극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제바리 국무장관은 한국의 방역체계를 모범사례로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교통 분야에서 코로나19 전파 억제를 위한 한국의 대응 노하우를 공유해 줄 것을 요청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한국은 지역간 이동제한 및 대중교통 전면중단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으며, 대중교통 이용으로 인한 코로나19 전파사례는 확인된 바 없다”며 ”개방성·투명성의 원칙 아래,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추진하고 있는 정부와 관련 업계의 협조,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코로나19 억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대중교통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교통시설과 차량에 방역을 강화하고, 승객 간 좌석을 이격 배정하고 있다.
김 장관은 “국민들도 불필요한 외출은 자제하고 있다”며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자발적으로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가급적 대화는 자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바리 국무장관은 드라이브 스루 진단방식, 데이터 네트워크 등 정보통신(IT) 기술을 이용한 우리 정부의 선진적인 경험에 대해 관심을 표명했다.
특히 한국이 지난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경험을 토대로, 감염병 위기상황에서 확진자들의 개인정보를 역학조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법적 근거를 마련(감염병예방법 개정)한 것에 대해서도 높이 평가했다.
이에 김 장관은 “범정부적 연대와 협력으로 구축된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으로 확진자 동선 파악이 기존 1일에서 10분으로 더욱 정확하고 빨라졌다”고 설명했다.
양 측은 이 날 통화를 통해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소통과 협력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향후에도 긴밀히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
#코로나19 #생태포용전환부 #프랑스 #방역체계 #대중교통 #사회적거리두기 #교통시설 #차량방역 #개인위생 #마스크착용 #감염병예방법 #역학조사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