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실수요자 주거안정을 위해 경기도를 시작으로 서울시, 인천시 등에 순차적으로 신규주택 청약한다고 2일 밝혔다. 경기도 75만6000가구, 서울시 36만4000가구, 인천시 15만1000가구 등 127만가구다.
이중, 남양주와 고양, 파주, 양주, 구리 등 경기북부에 33만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며, 공공택지 27만가구, 정비사업 6만가구를 공급한다.
입지가 확정된 공공택지는 남양주시(10만3000), 고양시(6만7000), 양주시(3만5000), 파주시(3만6000), 구리시(7000) 등에 총 27만가구다. 남양주시는 왕숙(6만6000가구), 양정역세권(1만4000가구), 진접2(1만가구), 다산지금·진건(10만가구) 등에 10만3000가구를 공급한다.
왕숙지구는 GTX-B 신설역사 주변을 도시첨단산단으로 지정해 수도권 동북부 경제중심도시로 조성하고, 왕숙2지구는 창작·전시·공연·창업교육 기능이 융합된 청년문화예술도시로 조성한다. 고양시는 창릉(3만8000가구), 장항(1만3000가구), 방송영상밸리(4000가구), 지축(3000가구), 탄현(3000가구) 등에 6만7000가구를 공급한다.
창릉지구는 창릉천을 중심으로 주변과 같이 상생하는 자족도시로 계획하고, 고양선과 BRT가 연결되는 지구 중앙에 중심복합지구를 배치해 창릉지구의 랜드마크로 조성한다. 양주시는 양주회천(1만8000가구), 양주광석(8000가구), 양주옥정(8000가구) 등에 3만5000가구, 파주시는 파주운정(3만3000가구) 등에 3만6000가구를 공급한다.
이 밖에도 구리갈매역세권(6000가구), 의정부우정(4000가구), 김포마송(4000가구), 김포양곡(2000가구) 등 구리·의정부·김포 등에 균형 있게 공급한다.
경기북부권 공공택지 입주자 모집은 올해 3만9000가구를 시작으로 내년 2만7000가구, 2022년 3만2000가구가 계획됐다. 올해 공급되는 입지는 파주운정‧양주회천‧다산지금‧양주옥정‧김포마송‧고양삼송‧고양지축‧남양주별내 등이다. 내년에 공급되는 입지는 파주운정3‧남양주진접2‧구리갈매역세권 등이 있다.
김승범 국토부는 공공택지기획과장은 “수도권 127만가구를 적기에 공급하고, 전문가·지자체·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3기 신도시 등이 내실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serrrrr@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