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2021년 정부‧지자체 예산 편성…포스트코로나 대응 방점④

부산, 13조3017억원 편성…지역경제 회복 중점

한정구 기자   |   등록일 : 2020-12-04 05:43:29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2021 부산시 본예산안<출처: 국토부>

 

 

 

부산시는 133017억원 규모의 2021년도 예산안과 2523억원 규모의 2020년도 제4회 추가경정 예산안을 편성했다고 지난달 11일 밝혔다.

 

2021년도 예산안은 포스트코로나 시대 전환이라는 전략 과제 아래 빠르고 강한 지역경제 회복 사회안전망 구축 확고한 코로나19 극복과 재난·재해로부터 시민안전 보호에 역점을 뒀다.

 

내년도 예산안은 올해의 본예산 125906억원보다 7111억원(5.6%) 늘어난 규모로 일반회계 103425억원, 특별회계 29,592억원이다. 처음으로 일반회계 10조원 시대를 열었다.

 

시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고통을 겪는 시민의 고통 분담 차원에서 업무추진비를 예년 수준의 50%로 삭감하는 등 공공부문 경비를 과감히 줄이는 지출 구조조정의 혁신적 재정 운용 기조를 세웠다. 세입 여건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지역경제 침체로 지방세가 올해 대비 1078억원(2.5%) 감소했으며, 국고보조금은 정부의 한국판 뉴딜 등 확장적 재정(5558000만원, 8.5%) 운영에 따라 4527억원(10.6%) 증가했다. 특히, 빠르고 강한 지역경제 생태계 회복 토대 위에 취약계층 사회안전망 구축, 코로나19 극복과 재난·재해로부터 시민안전 보호, 국가 지역 발전 전략인 한국형 뉴딜 사업 이행에 대응하는 국가발전 전략 정책 뒷받침 등 확장 재정을 단행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의 미래를 준비하도록 편성했다.

 

확장 재정수요 등에도 불구하고, 특별회계, 기금의 잉여재원 활용을 통한 전략적 재원 배분과 과감한 지출구조 조정 등으로 채무 비율 24.9%의 재정건전성을 유지하여 지속 가능한 재정 여력을 확보하는 노력도 기울였다.

 

 

▲주요 투자사업 <출처: 부산시> 

 

 

세출 수요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전환의 전략 과제를 목표로 지역경제 역동성 회복 안전하고 살기좋은 도시환경 조성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복지와 문화 등의 3대 중점 분야 13개 과제에 68940억원 수준의 예산을 투입한다.

 

특히, 2021년은 지역경제회복’, ‘고용·사회안전망 강화’, ‘감염, 재난·재해으로부터 시민안전 보호그리고 문화, 스포츠, 관광 분야 생태계 회복지원을 핵심전략 실천과제로 정하였다.

 

먼저 지역경제회복은 지역경제 충격으로부터 회복과 반등 모멘텀 공고화 필요에 따라 한국형뉴딜을 지역 여건에 맞춘 부산형 뉴딜을 추진(2377억원)하고, 지역 소상공인생성, 소비활력 제고(708억원)를 통한 골목상권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예산을 마련했다. 또한, 미래형 산업구조 혁신(179억원), 블록체인 규제자유 금융도시 조성 사업(79억원) 등 미래 먹거리사업 육성 예산도 편성했다. ‘고용·사회안전망 강화는 사람중심 지역맞춤일자리(363억원), 청년이 행복한 희망일자리(393억원), 저소득계층 소득보장강화(6260억원), 사회적 약자보호 분야(1027억원) 등 산업구조 변화, 지역 고용 다변화 등에 대응하고 지역사회 분배악화 요인의 선제 대응에 필요한 예산을 촘촘히 편성했다.

 

 

▲2021 부산시 10대 주요사업<출처: 부산시> 

 

 

감염, 재난·재해로부터 시민안전 보호는 전 주기 방역시스템(예방진단치료)의 보강과 공공의료시설 확충을 위해 2323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였고, 소방, 안전장비 구축(332억원), 안전도시 실현(379억원), 도시숲과 녹색공간 창출(361억원) 등 시민안전 위해 요인에 대처한 사전예방, 치유 인프라 확충 예산을 편성했다.

 

끝으로 어려움을 겪는 문화스포츠관광 분야 생태계 회복을 지원하고, 온라인·비대면 대응 새로운 분야 재정 지원을 확대하는 등 문화관광 부문 예산을 2020년 수준 이상의 예산을 반영하였고, 문화 예술 지원 및 기반조성(1636억원), 관광도시·스포츠 인프라 확충(566억원)을 위한 예산 편성도 코로나19 이전 수준 이상으로 편성했다.

 

또한, 전기차 지원 확대, 전통시장 온라인 상거래 활성화, 공공심야약국 운영, 자녀안심 그린숲 조성, 통합문화 이용권 지원, 원격 검침시스템 구축 등 올해보다 크게 늘거나 새롭게 시작하는 작지만, 시민 눈높이에 맞춘,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사업도 발굴 확대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예산을 편성했다.

 

한편, 올해 제4회 추경 예산안은 지난 7월 제3회 추경 이후 지자체 세입 증감분, 추가·변경 내시된 정부예산과 미집행 사업 정리, 실제 집행 가능한 필수사업 재투자를 통한 예산운용 효율성 극대화 등 올해 재정수요를 정리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행사·축제 등 미추진 사업 및 계약 낙찰 차액 등 사업 추진 과정에 발생한 집행잔액을 과감히 삭감·정리하고 이에 따른 357억 원의 재원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치구·군의 조정교부금으로 조기 반영하는 등 연내 필수 투자사업으로 재원을 활용하고 2021년 재정정책을 뒷받침했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2021년 예산안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환을 마련하기 위해, 부산의 미래를 준비한 예산이라며, “시민 여러분과 함께 빠르고 강하게 위기를 극복하며 부산발전의 희망을 이뤄가겠으며, 시의회에서 예산안이 확정되면 사업을 신속하게 집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