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경제 개념도<출처: 국회예산정책처>
수소경제는 수소를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경제산업구조를 의미한다. 즉 화석연료 중심의 현재 에너지 시스템에서 벗어나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수소를 안정적으로 생산-저장-운송하는 데 필요한 모든 분야의 산업과 시장을 새롭게 만들어내는 경제산업구조를 가진다.
▲탄소경제와 수소경제 비교<출처: 국회예산정책처>
글로벌 컨설팅 업체인 매킨지의 연구보고서를 보면 미래 수소경제는 전 세계 수소수요가 급증해 2050년 수소경제 시장은 약 2조5000억 달러의 부가가치와 누적 3000만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도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2040년까지 연간 43조원의 부가가치와 약 42만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주요내용은 △수소 활용 단계 △수소 생산 단계 △수소 저장‧운송 단계를 꼽을 수 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지난해 예산안에 수소경제 관련 사업 약 5640억원을 투입했다. 이는 2019년도 예산(추경포함) 약 3700억원 대비 52.4% 증가한 수치다.
환경부 및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수소차 보급 및 수소충전소 확충 사업에는 정부가 지방자치단체가 총 3591억원을 투입했다. 수소승용차 1대당 2250만원, 수소버스 1대당 1억5000만원을 보조했다. 수소충전소에는 도심거점 승용차 충전소 및 도심환승센터 수소버스 충전소는 지방자치단체에 국고 보조, 고속도로 휴게소 충전소는 도로공사가 출자했다.
수소생산기지 구축 사업은 산업부가 맡았다. 수소 대량공급을 위한 수소생산기지 구축 예산을 294억4000만원 지원했다. 수요처 인근 도심지에 LPG‧CNG 충전소 등에 구축하는 소규모 생산기지는 1기당 사업비 70억원 등 국비 50억원씩 5기 구축에 250억원을 지원했다. 전국 LNG 공급망에 구축하는 중‧대규모 수소생산기지는 2기 구축에 소요되는 1년차 사업비 110억원의 40%인 44억4000만원을 지원했다.
국토부는 수소 시범도시 3개소를 선정하고 도시 내 생활권 단위(3~10㎢) 공간에 도시 활동의 핵심인 주거, 교통분야에 집중해 수소 활용기술 실증을 추진했다. 이 사업에는 총 140억2000만원이 투입됐다. 2020년부터 3년간 1개소당 사업비 290억원의 50%인 135억원씩 총 3개소에 지원도 추진한다.
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부 및 해양수산부는 수소연료전지 핵심기술개발, 수소에너지혁신기술개발, 상용급 액화수소 플랜트 핵심기술개발, 수소운송선박 기술개발 등의 추진을 위해 약 1370억원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