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인천시 백아도, 탄소제로섬 조성사업 착공

에너지저장장치 등으로 전력 공급해 탄소제로화 구현

이종규 기자   |   등록일 : 2014-08-01 10:59:55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탄소제로섬 조감도/자료=인천시]


중앙정부의 에너지 신시장 창출 및 신재생 투자 정책에 부응하고자 탄소 배출이 없는 에너지 자립섬이 조성된다. 인천시는 지난 7월 31일, 백아도에 100% 청정에너지가 사용되는 ‘백아도 탄소제로섬’조성사업을 착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작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공모한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에 인천시와 옹진군 주관으로 6개 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응모했으며, 그 결과 육상과 전력이 연계되지 않은 도서지역의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모델로 백아도가 선정돼 추진하게 됐다. 총 사업비는 42억원 규모로서 국비 50%, 인천시와 옹진군이 나머지 50%를 분담한다.


올해 1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주요설비는 태양광 발전시설 250㎾, 풍력발전 10㎾ 4기와 에너지저장설비 1,125㎾로 구성되어 있다. 백아도는 현재 75kW급 디젤발전기 3대를 운영해 전기를 공급하고 있으며, 1년 동안 사용되는 디젤이 무려 110톤에 달하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기존 디젤발전을 전량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해 주민에게 청정에너지를 공급하게 됨으로써 에너지 자립과 탄소 제로화를 구현하게 된다. 탄소제로섬 조성 사업이 완료되면 백아도는 풍부한 햇빛과 바람자원에서 얻어진 전기를 주간에는 직접 수용가에 공급하게 된다. 남는 전기는 ESS(에너지저장설비)에 저장해 야간과 주간 일조량이 부족할 때 공급하게 되는데, 에너지저장설비는 하루 이상 백아도 주민들이 사용하기에 충분한 용량으로 설계됐다.


이번 ‘백아도 탄소제로섬’조성이 완료되면 소사나무, 복수초 등 야생화 천국이자 천혜의 환경을 갖춘 백아도가 태양광, 풍력 발전기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과 어우러져 녹색에너지 체험 교육과 테마관광 상품으로 개발될 것으로 기대되며, 지역주민의 소득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인천시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인천국제공항과 항만인프라 그리고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의 도시라는 명성에 걸맞게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화석에너지의 의존도를 낮추는 노력과 친환경적이면서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의 개발과 전환을 위한 다양한 사업도 발굴 추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인천시는 옹진군 덕적도에 에코아일랜드 조성사업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에코아일랜드사업은 신재생에너지를 테마로 하는 태양마을, 바람마을, 바이오마을, 조류마을, 스마트그리드 구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코아일랜드 사업에는 인천시와 옹진군을 비롯한 지역 발전사, 한국전력,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기씨그랜트센터, 가천에너지연구원, 이건창호 등이 참여하고 있다. 우선 올해 태양마을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며, 이어서 바람마을,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등의 사업을 연차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미 덕적도에는 108가구의 태양광주택을 설치해 주민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전기자전거도 10대를 보급해 주민들이 직접 운영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덕적군도, 서해5도 등의 도서에 섬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신재생에너지 융복합형 사업을 지속 발굴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