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한국국토정보공사는 2023년 기준 도시계획현황 통계를 발표했다.
용도지역으로 지정된 국토면적은 106,565㎢로, 도시지역 17,590㎢(16.5%), 관리지역 27,326㎢(25.6%), 농림지역 49,252㎢(46.2%), 자연환경보전지역 11,871㎢(11.1%), 미지정지역 526㎢(0.5%)로 구분되어 있다.
도시지역에서 주거지역은 2,761㎢(15.7%), 상업지역 345㎢(2.0%), 공업지역 1,267㎢(7.2%), 녹지지역 12,545㎢(71.3%), 미세분지역 672㎢(3.8%)로 조사됐다. 성장관리계획구역은 899㎢로, 2022년 436㎢ 대비 463㎢(106.4%) 증가했으며, 이 중 수도권에 550㎢(61.2%)가 지정됐다.
주요 지자체로는 경기도 417㎢(46.3%), 세종시 175㎢(19.5%), 인천시 133㎢(14.8%), 충북도 117㎢(13.0%) 순으로 나타났다.
개발행위 허가는 20만5,464건으로 2022년 24만3,605건 대비 3만8,141건(15.7%)이 감소했다.
유형별로는 건축물의 건축이 10만2,262건(1,299㎢, 49.8%), 토지형질 변경이 6만2,381건(139㎢, 30.4%), 토지분할이 2만0,931건(255㎢, 10.2%) 순으로 나타났다.
도시‧군계획시설로 결정된 면적은 총 7,144㎢로 2022년 7,094㎢ 대비 50㎢(0.7%) 증가했으며, 교통시설이 2,273㎢(31.8%)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