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2023년 공간정보산업 성장률 둔화에도 2,372개 일자리 창출

전년 대비 사업체 수 1.4%, 매출 0.6%, 종사자 수 3.3% 성장에 그쳐

김창수 기자   |   등록일 : 2024-12-23 09:46:41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공간정보산업 통계조사 결과 <출처 : 국토부> 

 

국토교통부는 2024년 공간정보산업 통계조사 결과(2023년 기준) 국내 공간정보산업 사업체 수는 5,955, 매출액은 11780억원, 종사자 수는 74,858명이라고 발표했다.

 

국가 승인통계인 공간정보 산업조사는 공간정보산업 활동을 영위하는 사업체 분포와 고용구조 및 경영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공간정보산업의 정책 수립과 기업의 경영계획 수립 및 평가, 학계·연구소 등에서 연구·분석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년 대비 사업체 수 84개사(1.4%), 매출액 657억 원(0.6%), 종사자 수 2,372(3.3%)이 각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첫 조사를 시작한 이래 국내 공간정보산업은 연평균 사업체 수 약 130(2.6%), 매출액 약 5,100억원(6.7%), 종사자 수 약 2,900(5.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성장률은 최근 5년 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는데, 5년 전(2019) 대비 연평균성장률이 사업체 3.2% 2.6%, 매출액 8.0% 6.7%, 종사자 수 6.2% 5.2%로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2023년 공간정보산업의 영업이익률은 3.2%, 당기순이익률은 1.4%로 전년대비 절반 이하로 감소(영업이익률 3.5%p, 당기순이익률 5.3%p 하락)하여 이익률은 전 산업 평균에 조금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건수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관은 디지털트윈의 핵심 요소인 공간정보는 국토의 지능적 관리와 국민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핵심 기반이라며, “이제는 고부가가치 서비스 시장의 창출과 활성화가 필요한 시기라며, 공간정보와 산업의 양적, 질적 성장을 위해 정책역량을 총동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