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서울~부산 잇는 중앙선 복선 고속철도 탄생

청량리에서 안동, 울산 거쳐 부산까지 KTX-이음 투입

박승규 기자   |   등록일 : 2024-12-23 14:45:12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서울~부산을 잇는 중앙선 노선도 <출처 : 국토부>

 

 

서울에서 부산까지 한반도 내륙을 관통하는 중앙선이 1942년 개통된 지 82년 만에, 단선 비전철에서 복선전철로 변모하여, KTX-이음 운행을 시작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일부터 중앙선 철도가 정식 운행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동안 중앙선의 속도 향상 및 수송 용량 확대를 위해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복선 전철화 사업을 추진해 왔다.

 

2010년 청량리~덕소, 2011년 제천~도담 구간 등을 단계적으로 개통하고, 2021년 원주~제천, 영천~경주에 이어 올해 중앙선의 마지막 구간인 도담~영천복선 전철화 사업을 완료했다. 기존 도담~영천구간의 구불구불한 168.1km 단선철도는 145.1km의 복선전철로 선형이 개량되었고, 사업비는 총 43,413억원을 투입했다. 이로써 중앙선 청량리부터 경주까지 연장 328km 중앙선 전 구간이 복선전철이 되면서, 동해남부선(경주~부전)과 연계하여 청량리부터 울산을 거쳐 부전까지 KTX-이음이 운행하게 된다.

 

20일부터 청량리~울산부산 구간에는 KTX-이음이 하루 왕복 6회 운행할 예정이며, 기존에 운행하던 무궁화호를 대체하게 될 ITX-마음은 하루 왕복 4회 운행할 계획이다.

 

중앙선 개통 초기에는 청량리~부전 구간 운행 소요시간은 KTX-이음 기준으로 3시간 56(청량리~태화강 3시간 12), ITX-마음 기준으로 약 5시간 30분 가량 소요될 예정이다.

 

내년 말 안동~영천 구간에 고속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시스템이 개량되면, 청량리~부전 구간 KTX 운행 시간은 3시간 40분대(청량리~태화강 3시간)로 단축되고 KTX-이음도 추가 투입하여 하루 왕복 18회로 운행을 확대할 계획이다.

 

중앙선 개통으로 수도권과 충북, 경북 등 중부내륙지역의 지방도시가 더욱 촘촘하게 연결되면서, 기업 투자와 일자리가 확대되어 중부내륙 지역의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강원(원주), 충북(제천·단양), 경북(영주·안동·의성·영천 등) 지역의 아름다운 자연과 문화유산을 찾는 관광수요가 늘어나고, 울산 도심과 기장·해운대·센텀 등 동부산 관광지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한편, 이번 도담~영천 구간에는 국내 최초로 철도교량건설 신공법이 적용되고 친환경 건설재료도 활용됐다.

 

안동역과 의성역을 잇는 안동고가에는 하회탈의 눈매를 형상화하여 독특하면서도 전통적인 구조미를 갖춘 연속 크로스 리브 아치교를 국내 최초로 설치했다. 또한, 철근 생산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94% 감소되는 유리섬유 보강근을 활용한 콘크리트 궤도를 국내 최초로 안동~영천 구간(터널 17개소)에 설치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이번 중앙선 복선 전철화와 KTX -이음 운행 개시는 대한민국 철도 역사에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하는 의미 있는 성과라면서, “경북·충청 등 내륙지역과 수도권을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연결하여, 누구나 살고 싶고 청년들이 미래를 꿈꿀 수 있는 지역으로 만들어 가겠다라고 밝혔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