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직단 주변시설 현황(전경·핵심영역)/자료=문화재청]
문화재청은 21세기 문화융성 시대를 맞아, 조선시대 왕실 사당인 종묘(宗廟)와 함께 국가 최고 의례시설이었던 사직단(社稷壇)의 상징성과 역사성 회복을 위해 사직단 복원정비계획을 마련하여 올해부터 복원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종묘는 본래의 자리에 옛 모습 그대로 보존되어 1995년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관리되고 있는 반면, 사직단은 일제강점기에 사직대제(社稷大祭) 폐지(1911년), 공원 조성(1922년) 등으로 역사적 가치가 크게 훼손되었으며, 광복 이후에도 경제개발 논리에 밀려 부지가 축소되고 각종 근대 시설물이 들어서는 등 본연의 모습을 잃었다.
그동안 서울특별시(1985년)와 종로구(2008년)에서 복원계획을 마련하여 추진하였으나 담장 설치 등 일부분에 그쳤다. 이에, 문화재청은 2012년 1월 종로구로부터 사직단 관리권한을 인계받은 후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복원을 위하여 복원정비 연구용역을 새롭게 추진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국회의 사직단 복원촉구 결의(2014년), 관계전문가 자문, 공청회, 관계기관 간담회 등 의견 수렴을 통해 복원정비계획을 마련했다.
![]() |
[사직단 경역 및 영역별 배치도/자료=문화재청]
문화재청은 사직단 권역을 중요도에 따라 3개 지역으로 나눴다. 핵심인 Ⅰ영역은 제례공간으로 안향청과 전사청 등이 위치하며, Ⅱ영역은 후원공간으로 현재 어린이도서관, 종로도서관, 단군성전 등이 있다. Ⅲ영역은 진입공간으로 사직단 대문과 전면 도로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문화재청은 2015년도 제례공간인 전사청 권역을 비롯한 핵심영역(Ⅰ영역) 발굴조사를 시작으로 2027년도까지 13개년 계획에 따라 주요 전각 13동은 복원하며 3동은 보수하기로 했다. 지형 또한 이에 맞춰 복원해 나갈 예정이다. 총 사업비는 164억8천만 원이 투입될 것으로 추정된다.
![]() |
[사업내용 및 사업비/자료=문화재청]
복원정비 기본방향은 ▲복원정비 기준시점은 20세기 초반으로 설정(숙종 연간 정비 이후 1911년 제례의 폐지 이전까지 건축·시설의 큰 변화 미확인) ▲지역주민과의 상생 도모를 위하여 제사 및 준비영역, 제례동선 등 핵심영역 중심으로 복원·정비 ▲인왕산과의 경관을 고려한 지형과 수림 복원 ▲변형·멸실된 건축물은 발굴조사와 고증을 토대로 원형으로 복원·보수 ▲문화재 보존관리와 관람객 편의, 문화재 활용 등을 고려한 영역별 정비계획 수립 수진 ▲장기(Ⅱ~Ⅲ영역) 복원정비사업은 단기·중기(Ⅰ영역) 복원정비사업 완료 후 협의체(지역주민, 관계기관, 관계전문가, 문화재청 등으로 구성) 운영을 통해 충분한 의견 수렴과 공론화 과정을 거쳐 사업추진 여부 결정 등이다.
문화재청은 “사직단 복원정비를 통하여 국민의 문화향유권 신장과 함께 서울의 4대궁, 종묘와 같이 전 국민의 역사교육공간이자 관광자원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4월 국회가 ‘사직단 복원 촉구 결의안’을 통과시킨 뒤 문화재청은 훼손된 건물을 복원하고 원래 경역을 회복시키는 복원 사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어린이도서관 등 후대 경역에 들어선 주민 편의시설들의 대체 이전 협의가 미흡하다는 이유로 상당수 주민들이 반대운동을 벌이면서 준비단계부터 적지않은 어려움을 겪어온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