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회전교차로 확대’ 교통선진화 이끌까? ①

회전교차로의 도래

정진식 기자   |   등록일 : 2015-02-13 11:28:14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회전교차로 개념도/자료=국토교통부]

 

회전교차로는 1970년대 초부터 영국에서 시작되어 교통사고 감소와 용량 증대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유럽 전역과 호주, 뉴질랜드에 전파되었으며 1990년대부터는 미국과 캐나다에까지 도입되기 시작되었다.

 

회전교차로의 정의

회전교차로(Roundabout)는 교차로 가운데에 원형 교통섬을 두어 접근차량들이 저속으로 우회하는 가운데 원하는 방향을 찾도록 함으로써 교통 신호등 없이 차량을 처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차량이 정지하지 않고 양보에 의하여 운행됨으로써 교통 신호 제어방식에 비해 용량이 증대되며 교통섬의 크기를 제한하고 진입시 감속이 불가피하도록 함으로써 저속운행이 유지되어 교통사고 위험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교통섬의 크기를 되도록 크게하여 고속진입을 유도하는 종래의 로타리 방식과 비교되며, 특히 진입차량이 회전차량에 양보하도록 함으로써 교차로 안에서의 엉킴과 접촉사고문제를 해결하였다.

 

회전교차로의 특징

일반적으로 회전교차로를 종래의 교통서클(로터리)과 오인할 수 있지만, 회전교차로는 신호등 없이 자동차들이 교차로 중앙에 설치된 원형 교통섬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교차로를 통과하도록 하는 평면교차로의 일종이며, 서행으로 교차로에 접근한 자동차가 교차로 내부의 회전차로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에게 양보하며 진입하는 것이 기본 운영원리인 것에 반하여, 교통서클(로터리)은 진입차량이 우선 통행하며 고속으로 교차로에 진입하는 방식의 교차로 형태로, 국내에 운영되고 있는 대부분의 원형 교차로가 이에 해당하며, 이는 교통지체 및 낮은 안전성 등의 문제를 안고 있어 근본적으로 회전교차로와는 다른 교차로 형태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회전교차로와 교통서클(로터리) 운영원리 비교/자료=서울시]

 

회전교차로는 일반 평면교차로보다 자동차 간, 자동차-보행자 간 상충횟수를 감소시키고 교차로 진입부와 교차로 내에서 감속운행을 하게 되어 안정적이다. 또한 신호교차로는 교통량에 상관없이 일정한 신호대기시간이 발생하므로 일정량 이하일 경우 회전교차로가 지체감소에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특수 기하구조에 다양하게 변형설치(다지교차로, Y형교차로, 인접교차로)가 가능하며, 회전교통류에 대한 제한이 없어 모든 방향으로의 접근이 가능하여 교차로 주변의 토지이용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사거리교차로와 회전교차로의 상충점/자료=서울시]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