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심층취재

내포신도시 조성사업의 현 주소는?

주민등록상 인구 기준 6,500명 불과…더디고 더딘 인프라 조성

강현선 기자   |   등록일 : 2015-02-23 15:10:58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내포신도시 전경/자료=충남도청]

 

지난 2012년 12월, 대전에 있던 충남도청의 입주로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됐던 내포신도시 조성 사업이 사실상 표류하고 있다. 2020년까지 인구 10만 명 규모의 ‘환황해권 중심도시’를 만들어 도내 균형발전을 선도하겠다는 당초 구상도 크게 위협받고 있다.

 

내포신도시보다 먼저 시작한 남악신도시(전남도청 신도시)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행정기관만으로는 도시의 기본적인 기능조차 부족할 수밖에 없다는 점이 확인됐으나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도의 보다 강력한 의지와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이유다. 가장 큰 문제는 사람이 모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각종 기반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탓도 있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내포신도시의 ‘장래성’이 그다지 밝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내포신도시 어디까지 왔나?…주민등록상 인구 6,500명 불과

지난해 10월 마련된 ‘내포신도시 개발계획(변경) 최종보고서’와 도 내포신도시건설본부,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따르면 내포신도시는 공간적으로 홍성군 홍북면과 예산군 삽교읍 일원 995만 1,729㎡에 조성 중이며, 시행기간은 2007년 7월 20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다. 계획인구를 살펴보면 도청 및 유관기관이 이전되는 1단계(2008~2013년)에는 1만 8,793명, 2단계(2014년~2015년)에는 7만 3,932명, 3단계(2016년~2020년) 10만 명이 목표다. 2016년 봄까지 총 2만 5,000명이 거주할 수 있는 주택이 조성될 예정이지만 현재 주민등록상 인구는 6,500명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동인구까지 합쳐도 1만 5,000명에 그칠 뿐이다. 주민등록상 인구만 놓고 봤을 때 내포신도시는 충남지역 인구 상위 20개 행정통·리(2005년~2010) 중 2위를 차지(충남리포트 제153호 참조)한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신계1리(6,491명)에 그치는 규모다. 이미 도청과 교육청, 지방청 등 굵직굵직한 기관 대부분이 입주한 상태인데도 이 정도라면 2020년 인구 10만 명 목표는 이미 실현 불가능한 얘기라 하겠다. 원룸 임대료 폭락 등 그에 따른 부작용은 이미 발생하고 있다.

 

더디고 더딘 인프라 조성…KBS는 수신료, 이마트는 땅값 핑계

인구 못지않게 내포신도시의 인프라 확충 문제도 심각한 상태다. 당장 자족기능의 최소조건이라 할 수 있는 종합병원 유치조차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현재 내포신도시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할 경우 가장 가까운 병원인 홍성의료원으로 이송해야 하는데, 그 거리가 8km에 달한다. 도 내포신도시건설본부는 2015년 주요업무계획에 종합병원 유치를 위해 “행·재정적 인센티브를 제시해 투자 결정을 유도”하겠다고 밝혔으나, 가시적인 성과는 아직까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내포신도시 토지이용 계획도/자료=내포신도시 개발계획 최종보고서]


현재 건양대 등 도내 2개의 대학과 종합병원 설립을 타진하고 있는데, 도는 약 30억 원을 그에 따른 인센티브로 확보해 놓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대학은 도에 종합병원 설립 계획서를 조만간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순탄할 것으로 예상됐던 이마트 유치도 땅값 문제로 제동이 걸린 상태다. 이마트는 현재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당초 논의됐던 땅값보다 인하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방송공사(KBS) 역시 내포방송총국 설치를 위해 지난 2011년 5월 총 119억 8,500만 원(잔금 29억 9,600만 원)을 들여 2만 925㎡의 부지를 확보했으나, 재정상 어려움을 이유로 수신료 인상과 연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쏟아지는 내포신도시 활성화 대책…문제는 실행력

대학 유치도 어렵기는 마찬가지이다. 현대제철이나 현대자동차, 삼성디스플레이 등 도내에 입주해 있는 대기업과 연계한 특성화 된 학과를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을 뿐 성과는 없는 실정이다. 한국농어촌공사충남본부와 대한지적공사충남본부 등 부지매입 후 입주를 미루고 있는 기관들의 경우 본사 부지가 팔리지 않아 재원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다양한 대책이 나오고 있다. 도는 지난해 9월 브리핑에서 “젊은 층이 사는 내포신도시를 만들겠다”며 ▲ 아동자연인성학습센터(가칭) 건립 ▲ 산업용지 개발 및 기업 유치 ▲ 정부합동지방청사 조기 건립 등을 그에 따른 해법으로 제시했다. 도의회 차원의 논의도 진행되고 있는데, 내포문화권발전지원특별위원회 위원장인 김용필 의원(새누리, 예산1)은 지난 11일 브리핑에서 “내포신도시의 경우 산업단지를 유치할 수 있는데, 토지 원가 공급과 취·등록세 면제 등 다양한 혜택이 뒷받침 돼야 상생도시로 성장할 수 있다”며 “내포신도시만의 교육 특화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도 관계자는 최근 내포신도시 분양과 관련 “대학병원이나 중심상업용지(파워센터), 대학용지 등만 남아 있는 상태로, 경기 침체 속에 나름대로 선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성장 동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병원이나 대학, 대형유통센터 등을 유치해 기폭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