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인천시, 정비사업구역 내 폐·공가 유형별 관리 추진

철거 후 주차장·텃밭 등 활용 또는 리모델링 통해 공용시설 제공

김원섭 기자   |   등록일 : 2015-06-04 14:11:19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인천시 폐·공가 분포도/자료=인천시] 

 

인천광역시는 장기적인 부동산 경기 침체로 정비사업구역 내에서 계속 증가하고 있는 폐·공가를 정비하기 위해 폐·공가 전수조사를 끝마치고 유형별 관리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수조사 결과 정비사업구역 내 폐·공가는 전년도 대비 22%가 증가한 1,317동으로 밝혀졌다. 특히, 원도심인 중구·동구·남구·부평구 등 4개 구에 전체의 99%(1,298동)가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시는 균열·붕괴 등 안전사고 우려가 있는 건물은 철거해 주차장·텃밭 등으로 활용하고, 안전조치가 필요한 건물은 폐쇄하거나 CCTV를 설치할 계획이다. 또한 재활용이 가능한 건물은 리모델링을 통해 공동이용시설로 제공하는 등 유형별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시는 폐·공사 관리와 철거를 위해 지난 3월 2일 중구·동구·남구·부평구 등 4개 구에 보조금 258백만 원을 교부했으며, 63동에 대해서는 상반기 안에 철거를 끝내고 정비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이종호 시 주거환경정책과장은 “정비사업이 지연돼 원도심 속에 방치되고 있는 폐·공가를 유형별로 관리·정비하고 이 자리를 주차장, 텃밭, 공용이용시설 등으로 활용해 지역주민에게 돌려주면 안전사고 예방과 우범지대화 해소에도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