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ITS 개념도/자료=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26일,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교통안전혁신과 신시장 창출을 위한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ITS)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차세대 ITS에 대한 핵심기술을 개발하여 2014~2016년간 실제 도로에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향후 고속도로부터 중소도시까지 인프라를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차세대 ITS용 주파수를 확보하고, 차량·위치정보 수집, 차량제어에 따른 사고 책임소재, 차량해킹 방지 등을 위한 법·제도도 정비할 계획을 밝혔다.
차세대ITS란 주행 중인 차량이 다른 차량 또는 도로시설과 실시간으로 통신을 하면서 사고나 장애물 등 위험요소를 서로 공유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첨단 서비스이다.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이미 시범사업을 하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도입을 추진중인 도로교통분야 신성장 산업으로 주목받는 분야이다. 국토부는 교통사고를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것은 물론 IT강국의 장점을 살려 관련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차세대 ITS 활성화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차세대ITS 활성화 추진계획 세부내용으로 먼저 차세대 ITS 구축 중장기 로드맵 수립한다. 2014~2016년까지는 총 사업비 180억원 규모의 시범사업을 통해 핵심기술을 검증한다. 또한, 효과분석을 통한 표준화 및 품질인증·보안 등 기준 수립한다. 2017~2020년까지는 고속도로 중심으로 인프라를 구축하고, 차량-도로 통신 기반의 안전서비스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2021~2030년까지 중소도시까지 확대하고, 차량-인프라-보행자간 연계 및 차량제어를 통해 교통사고 사망자 0명대 이하로 감축한다.
차세대 ITS 활성화 대책 추진으로는 △핵심기술 연구개발 및 전용 주파수 확보 △법·제도적 기반 마련 △표준 및 인증의 국제규격화 △산업 활성화 △해외수출 지원 등이 있다. 국토교통부는 '국내에 차세대 ITS가 도입될 경우, 교통사고의 약 46%를 예방하고, 이에 따라 교통사고 비용을 연간 3.6조원 절감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