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부동산&건설

마포 석유비축기지, '친환경 문화명소'로 재탄생

서울시, 마포 석유비축기지 기본구상 발표

유지혜 기자   |   등록일 : 2014-01-10 09:51:26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마포 석유비축기지 예상도/자료=서울시] 


13년간 방치됐던 마포구 석유비축기지가 ‘환경과 재생’을 주제로 한 친환경 복합문화공간, 서북권의 새로운 문화명소로 재탄생 되어 시민 품으로 돌아간다. 서울시는 작년 6개월간 아이디어 공모와 시민 공감대 형성과정을 거쳐 이와 같은 골자의 활용방안과 향후 로드맵을 담은 ‘마포 석유비축기지 기본구상’을 발표했다. 이 일대가 쓰레기 산이었다는 장소적 특성을 반영해 녹색도시 서울을 상징하는 대표적 ‘환경재생거점’으로 재탄생시키고자 한다. 인근의 월드컵경기장의 공연·이벤트 기능과 DMC의 디지털미디어 기능을 융합해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한다고 시는 밝혔다. 총 면적은 146,245㎡으로서 서울광장의 약 11배에 이른다.


마포 석유비축기지는 1979년에 건립해, 2000년에 용도폐기 됐다. 매봉산 속에 5개의 석유탱크가 매설된 유례가 드문 산업유산으로서, 시는 이러한 장소적 가치와 석유탱크 내부의 독특한 공간적 특성을 최대한 살린다는 부지 이용 원칙을 세웠다. 이에 따라 기존 5개의 석유탱크(지름 15~38m, 높이 15m의 5층 건물 규모)와 옹벽은 재생적으로 활용하고, 자연지형은 최대한 훼손하지 않고 존중한다.


개발은 사업 여건에 따라 ▲석유비축탱크 일대(부지면적 111,033㎡/서울광장의 8.4배)→ ▲주차장 부지(부지면적 35,212㎡/서울광장의 2.7배) 일대 각각을 중심으로 2단계로 추진된다. 우선 1단계에서는 석유비축탱크 일대의 산업유산을 활용해 문화명소로 개발한다. 석유비축탱크 부지에는 △전시체험공간 △정보교류공간 △공연강연공간의 기능이 도입된다. 이 때 탱크 내·외부공간을 통합해 각각은 독립된 개별시설이 아닌 하나의 공간에서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2단계에선 기존 영상문화컴플렉스 계획이 있는 주차장 부지 일대를 1단계 개발 내용과 조화를 이루도록 해 상암 DMC의 산업지원 기반으로 조성한다.


구체적인 탱크별 도입시설과 규모를 포함한 실제 설계는 전 세계 건축가, 조경가 등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국제현상설계’를 통해 추진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철저한 사전준비를 거쳐 오는 4월 국제현상설계 공고를, 하반기엔 당선작 선정을 하고 2015년엔 기본 및 실시설계를 실시하며, 2016년엔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마포 석유비축기지 1단계 사업이 완료되면 노을공원, 하늘공원, 월드컵경기장 등 주변의 친환경 문화자원과 함께 서북권의 환경생태 및 문화공간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 한다'며 '시민의 소통공간이자 세계적인 명소가 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조성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마포 석유비축기지 현황/자료=서울시]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