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의 정비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5년간 4000명의 정비인력을 양성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항공정비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항공사·훈련기관 등과 협업해 ‘항공정비 전문인력 양성방안’을 마련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양성방안은 항공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정비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훈련 인프라 구축, 항공사·MRO 업체의 채용기준 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과정 개설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B737기종 등 중·대형기 정비를 위해 전문교육기관과 협업해 실습장과 장비(엔진, 도어, 시뮬레이터 등) 등 교육훈련 기반을 조성하고 기종 교육과정을 신설, 기존 항공사에서만 가능했던 중·대형기 기종 교육훈련을 민간 교육기관에서도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또 취업률에 따라 정부가 훈련비용을 지원할 계획이며 교육과정, 이수자에 대해 항공사·MRO 업체에서 채용 시 가점 등의 우대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고졸자 등 취업 취약계층을 위한 단기(6개월) 교육과정도 마련한다.
국토부는 이번 정비인력 양성방안으로 현장 맞춤형 항공정비인력을 양성함으로써 향후 항공사·MRO 업체의 정비능력을 제고, 국가 항공정비산업 경쟁력 강화 및 항공기 운항 안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부, 항공사·MRO 업체, 교육훈련기관과 함께 ‘항공정비인력 양성 협의체’를 구성·운영해 ‘항공정비 전문인력 양성방안’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