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표준 마련

비효율・중복투자 막고 지자체 통합플랫폼 사업에 민간기업 참여

김길태 기자   |   등록일 : 2018-05-02 15:48:55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자료=국토교통부]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사업에 민간 솔루션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통합플랫폼 관련 표준과 인증체계가 마련됐다.

2일 국토교통부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표준 인증이 금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은 지자체 스마트시티 센터에서 방범․방재, 교통, 시설물 관리 등 분야별 정보시스템을 연계․활용하기 위한 기반 소프트웨어다.

국토부는 지난해 10월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기본 기능과 관련된 기능 명세 표준, 서비스 등 연계를 위한 연계규격 표준, 인증시험을 위한 시험규격 표준을 업계 단체표준으로 제정, 이번에 전문인증기관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가 인증을 시행하게 된 것이다.

기존에는 정부 연구개발(R&D)로 개발한 통합플랫폼만 지자체 통합플랫폼 사업에 활용됐지만 앞으로 인증받은 민간 기업의 통합플랫폼도 해당 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그동안 지자체마다 방범, 교통, 환경 등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해 왔으나 개별 서비스 위주로 운영되다 보니 비효율 및 예산 중복투자 등의 문제가 지적됐다.

특히 민간 업계에서는 소프트웨어(S/W) 시장 활성화, 지자체의 스마트시티 사업 참여 등을 위해 통합플랫폼에 필요한 표준과 인터페이스 사양을 마련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해 왔다.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시험인증 절차/자료=국토교통부]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표준 제정에 이어 민간 솔루션 기업의 참여가 활성화할 수 있도록 이번 인증체계를 마련했다. 무엇보다 연구개발(R&D) 사업을 통해 지자체의 정보시스템 운영 환경과 지자체 간 시스템 연계 및 호환성을 고려한 통합 플랫폼을 지난 2013년 개발해 2015년부터 지자체에 보급하고 있다.

국토부는 다양한 업체의 경쟁적 참여를 통해 우수 소프트웨어(S/W)가 개발되는 등 스마트시티 소프트웨어(S/W)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연관기사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