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자동차 시대가 다가오면서 자율주행차의 최대 기능을 발휘하며 안전하게 달릴 수 있는 교통 인프라가 절실해지고 있다. 현 수준의 도로, 철도, 항공, 대중교통의 ‘일반 인프라’에서 업그레이드된 ‘디지털 인프라’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차량과 도로가 실시간으로 통신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이 차세대 먹거리로 관심을 받고 있다.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의 정의와 목적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은 교통수단 및 교통 시설에 전자·제어 및 통신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해 교통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교통 체계의 운영 및 관리를 자동화해 교통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교통 체계를 뜻한다.
버스 정류장의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 교차로에서 교통량에 따라 자동으로 차량 신호가 바뀌는 시스템, 내비게이션의 실시간 교통 정보, 하이패스 등이 ITS 서비스이다.
ITS국가교통정보센터는 ITS 서비스 분야를 교통 관리, 대중 교통, 전자 지불, 교통 정보 유통, 여행 정보 제공, 지능형 차량·도로, 화물 운송 7개 분야로 나누어 개발하고 있다. ITS 이용으로, 물류비, 시설 유지 관리, 에너지 등을 절감하여 경제력이 강화되고, 교통 혼잡과 사고를 예방하는 등 교통안전을 개선시키고 있다.
ITS는 가속화되고 있는 정보화 사회에 맞는 신속, 안전, 쾌적한 차세대 교통체계를 구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ITS 서비스는 크게 △ATMS(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 △ATIS(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APTS(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CVO(Commercial Vehicle Operation) △AVHS(Advanced Vehicle and Highway System)로 분류된다.
ATMS는 도로상에 차량 특성, 속도 등의 교통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치하여 교통 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도로 교통의 관리와 최적 신호 체계의 구현을 꾀하는 동시에 여행시간 측정과 교통사고 파악, 과적 단속 등의 업무 자동화를 구현한다. 예로 요금 자동 징수 시스템과 자동단속시스템이 있다.
ATIS는 교통 여건, 도로 상황,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 소요 시간, 주차장 상황 등 각종 교통 정보를 FM 라디오방송, 차량 내 단말기 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신속,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최적 교통을 지원한다. 예로 운전자 정보 시스템, 최적 경로 안내 시스템, 여행 서비스 정보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APTS는 대중교통 운영체계의 정보화를 바탕으로 시민들에게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스케줄, 차량 위치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 편익을 극대화하고, 대중교통 운송 회사 및 행정 부서에는 차량관리, 배차 및 모니터링 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 한다. 예로 대중교통 정보 시스템, 대중교통 관리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CVO는 컴퓨터를 통해 각 차량의 위치, 운행상태, 차내 상황 등을 관제실에서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최적운행을 지시함으로써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통행료 자동 징수, 위험물 적재 차량 관리 등을 통행 물류의 합리화와 안전성 제고를 도모한다. 예로 전자 통관 시스템, 화물차량 관리 시스템 등이 있다.
AVHS는 차량에 교통상황, 장애물 인식 등의 고성능 센서와 자동제어장치를 부착하여 운전을 자동화하며, 도로상에 지능형 통신시설을 설치하여 일정간격 주행으로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도로소통 능력을 증대시킨다.
정보통신기술과 교통의 접목
빠르고 안전한 교통소통을 도와주는 지능형첨단교통망인 ITS는 기존 교통시설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는 차세대 교통체계다. 자동차 운행 중 전국의 도로, 교량 등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게 해주는 것도 ITS의 기능 중 하나다.
특히 도로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ITS)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이다. 상업용 차량이 늘어남에 따라 많은 물류 업체가 자산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도록 권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GE Capital, AT&T와 같은 회사는 함대 배출 및 실시간 위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텔레매틱스 차량 솔루션을 채택해 회사가 전체 차량을 진단 한 후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운전자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일정을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외에 ITS는 교통량의 변화에 따른 실시간 교통신호 제어, 요금징수 자동화, 사고 등 돌발 상황에 대한 신속한 조치, 실시간 교통정보 및 우회경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통 체증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또 차량뿐만 아니라 지하철, 철도, 비행기 등 타 교통수단과의 정보교류를 통해 종합적인 교통 정보망을 구축해 언제 어디서든지 현재 교통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해준다.
무엇보다 국내외 적으로 정보 통신 기술과 교통의 접목을 위한 수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ITS의 등장은 자동차 및 도로 교통을 중심으로 기술이 발달하고 있는 현실에서 곧 철도, 해상, 항공 교통 분야로 확대될 예정이다.
지능형 교통 체계 구축 사업에는 차량번호 자동 인식, 돌발 상황 관리, 도로 교통 정보, 실시간 신호 제어, 버스 정보, 버스 전용 차로 단속, 자가 통신망 등 최첨단 시스템도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