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Market and Markets 보고서는 2017년 세계 ITS 시장은 218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5.65%씩 증가해 2023년에는 30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부, 행정안전부 등의 정부부처에서 이미 스마트시티 건설을 위한 정책을 다각도로 펼치고 있으며, 한국도로공사는 ITS 구축 사업을 가장 빠르게 시작, 현재 전국 고속도로에 ITS구축이 80%이상 완료된 상태로 알려진다.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무선통신망과 연결성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에서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미래 산업을 선도할 기술과 잠재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전국 지자체의 ITS 활용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달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74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69조의 규정에 따라 ‘서울시 지능형 교통체계(ITS)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이를 고시한 바 있다.
‘서울시 지능형 교통체계(ITS) 기본계획’ 수립 배경은 관련법상 10년 단위의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을 5년마다 정비하도록 규정되어 있어, 2013년 기본계획을 수정·보완해 향후 10년간 서울시 지능형교통체계(ITS) 기본계획을 수립한다는 목적이다.
계획범위는 서울시 전역 및 수도권의 공간적 범위와 2017년을 기준으로 2018년부터 2027년까지의 시간적 범위로 계획했다.
‘서울시 지능형 교통체계(ITS) 기본계획’ 주요 내용은 △서울시 교통여건 변화 및 동향분석 △서울시 ITS 구축 기본방향 및 추진전략 △서울시 ITS 서비스 추진방안 등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괘적한 도심공간 즉, 보행중심의 공간조성, 자율주행 미니버스 등으로 교통환경을 개선하는 등 신개념 도시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 도로공간을 활용 및 재편성해 차량은 외곽으로, 도심은 새로운 공간으로 활용한다.
또 빅데이터도 활용한다. 개별차량 운행정보, 대중교통 이용정보, 블록체인 기반서비스 등 다양한 수단 및 인프라정보와 예측이 아닌, 실시간 판단에 의해 교통 관리를 수행하는 등 빅데이터 분석 및 AI 기술을 활용할 계획이다.
이밖에 이용자 중심 서비스 및 친환경 융·복합 교통 시스템을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환경을 추구하고, 자율주행 기술의 보급과 공유 교통 확대 등 미래형 모빌리티 인프라를 보급할 계획이다.
경기도 김포시 역시 안전·편리한 교통환경 조성을 위해 실시간 버스도착정보 안내 등 버스정보시스템(BIS)과 도로의 교통상황을 알리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구축을 중점 추진 중이다.
지난 26일 김포시는 자율주행 등 미래 교통에 대비해 기본계획을 세워 2030년까지 단계별로 교통인프라 구축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포시는 2008년부터 버스의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버스정보시스템(BIS)을 구축해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화면을 통해 버스도착·차내 혼잡·날씨상황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시는 또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CCTV·교통상황안내 도로안내전광판(VMS)·교통량 및 주행속도 수집을 위한 차량검지시스템(VDS) 등 교통정보시설물 총 153대를 운영하고, 차량 주행 중 실시간 교통상황을 알 수 있도록 주요 간선 도로에 도로안내전광판(VMS) 19개소를 설치 운영 중이다.
특히 김포시는 2019년에 지능형 교통체계(ITS)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김포시의 ITS 기본계획에는 이미 운영되고 있는 대중교통 BIS와 UTIS의 지속 확대는 물론 자율주행 등 미래교통에 대비해 2030년까지 교통인프라 구축 등 단계별 전략이 포함된다.
김포시의 ITS 7대 주요서비스 분야는 △교통관리(실시간 교통흐름·돌발사고 관리·실시간 신호제어) △대중교통(버스운행관리·버스정보제공·준대중 교통수단이용자 지원) △전자지불(통행료·주차요금·버스요금) △교통정보유통(여행자 교통정보 제공) △부가교통정보제공(실시간 경로안내·민간) △지능형 차량·도로(자율주행·도로 첨단화) △화물운송(화물차량운행지원·위험화물차 안전관리) 등이다.
서울시와 경기 김포시 외에도 구미시도 국토부의 ‘2019년 지능형교통체계(ITS) 구축사업’공모에 선정돼 국비 14억 원을 확보한 상태다. 수원시도 ITS 구축사업과 광역버스정보시스템(BIS) 구축사업이 국토부 국비 보조 공모사업에 선정됐다. 화성시는 지난해 말 국토부로부터 공모사업에 선정되면서 50억 원의 사업비로 국지도 84호선 등 관내 주요 도로 35km 구간에 지능형 교통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부도 ITS 활용,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
국토교통부는 지난 10월 스마트폰 서비스 개발사와 협업해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를 활용한 보행자 안전서비스 개발에 착수중이다.
C-ITS는 ‘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의 약자로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에 양방향 통신을 접목시켜 교통사고 예방, 자율협력주행 등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국토부는 이 서비스가 개발되면 보행자는 버스정류장이나 신호등사거리 등 교통이 복잡한 곳으로 접근하는 차량 정보를 받을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특히 교통신호를 지키지 않고 주행하는 차량의 정보도 제공받아 보행자 교통사고가 대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운전자도 무단횡단 등 보행자 정보를 받을 수 있게 되며 고속도로․국도 등에서도 수시로 도로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해 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기존에 별도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던 C-ITS 서비스를 보다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스마트폰·C-ITS단말기 간 휴대폰케이스, 거치대 등을 통해 연결하는 기술도 개발한다.
국토부는 관련 서비스와 장비를 내년 6월경까지 개발과 성능검증을 완료하고 이르면 7월부터 대전-세종 도로구간(87.8km)에서 시범운영하겠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2014년부터 세종시와 대전시 유성구를 연결하는 도로 구간에 C-ITS를 구축하고 시범운영하고 있다. 기존 ITS가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장비 구축에 초점을 둔 것에서 업그레이드 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위치 정보는 물론, 주행 상태 정보까지 활용해 차량 내부의 돌발 상황 인지, 과속 및 신호위반 경고, 차량 간 통신이 가능하다. 업그레이드 된 ITS로 정지 상태인 전방 차량을 후방에서 추돌하는 2차 사고와 교차로에서 신호를 위반하고 달리는 차량과의 충돌 사고 예방에 도움된다.
정부는 고속도로와 병행해 지자체에도 C-ITS를 도입하기로 했고,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총 43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시스템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