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과 강북의 균형발전의 주춧돌이 될 강북횡단선이 조성된다.
20일 서울시는 ‘제2차 서울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용역결과를 발표, 향후 10년간 약 7조 원을 투입해 경전철 6개 노선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시는 철도 서비스를 적기에 제공하고, 철도 중심의 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간선 및 광역철도와 경전철 간의 탄력적인 투자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이를 위해 철도건설 예산을 중기재정계획상 철도부문 투자 규모를 늘려 향후 매년 약 7000억 원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계획안에 따르면 시는 오는 2028년을 목표로 양천구 목동에서 동대문구 청량리까지 이어지는 25.72㎞의 강북횡단선 등을 신설한다.
강북횡단선은 청량리역~국민대~홍재~DMC~목동역 구간에서 완급행 열차 운행이 가능한 노선으로 총 19개 정거장이 구성된다. 청량리역에서 1호선, GTX-C, 면목선, 경의중앙선, 서로는 5호선과 연결되며 3호선, 6호선, 우이신설선, 서부선, 9호선까지 환승 가능하다.
철도망 계획에는 기존 지하철 노선 2개를 개량하는 내용도 담겼다. 4호선은 당고개~남태령 구간에 급행열차를 운영하고, 5호선은 지선으로 갈라지던 둔촌동~길동~굽은다리역을 직결화 시켜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이 밖에도 서부선과 신림선을 각각 남쪽과 북쪽으로 연장해 노선 간 연결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 외에도 9호선 4단계 추가연장(고덕강일1지구~강일역) 구간은 조건부로 포함시켰는데, 오는 2021년 강일~미사 구간과 함께 국토교통부가 광역철도로 지정하면 추진하겠다는 게 서울시의 입장이다.
시는 2차 철도망 계획이 실현되면 철도통행시간은 평균 15%, 지하철 혼잡도는 30% 감소하고, 철도 이용이 가능한 시민은 약 40만 명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10분내 철도서비스 가능지역은 현재 63%에서 75%로 확대되며, 철도역 접근이 어려웠던 행정동도 기존 170개에서 104개(40.1%→24.5%)로 감소가 예상돼 철도 서비스 취약지역이었던 동북권, 서북권, 서남권 시민들의 철도이용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