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부동산&건설

정부, 지자체 '건축인허가' 불만민원 바로잡는다

국토교통부, '건축민원 전문위원회' 시범운영

신은주 기자   |   등록일 : 2014-04-10 16:04:07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료=국토교통부]


앞으로 국토부가 지자체의 경직되고 소극적인 유권해석으로 인해 건축인허가 과정에서 발생하는 건축민원을 적극 해소해 갈 계획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자체가 인허가 과정에서 판단하는 '유권해석'이 사실상 건축법령과 조례 보다 강한 규제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 사업기간이나 사업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국토교통부내 중앙건축위원회 위원 등으로 “건축민원 전문위원회”를 구성하여 문제소지가 있는 건축민원에 대하여 심층 검토하여 해당기관에 올바른 유권해석 등 방안을 제시하기로 했다.


지난 4월 9일 첫번째 건축민원 전문위원회가 논의한 주요 내용으로 첫째, 출판·인쇄소도 발생 폐수를 전량 위탁처리하는 경우 '제2종 근린생활시설' 용도로 구분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귀금속·장신구 제조업소외에도 자동식 사진처리시설, 김치제조업소 등의 제조시설도 제2종 근생으로 적용받게 된다. 둘째, 하나의 대지가 공원으로 분리된 형태인 경우에도 채광을 위한 건축물 높이 산정 기준인 대지경계선을 공원에 인접한 대지간의 중심선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다만, 이 경우 지방건축위원회에서 일조 확보 등에 문제가 없다고 인정하는 경우로 한정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이런 불만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이유로 그간 사회와 건축여건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전임자의 기존 해석을 그대로 답습하거나 책임소재 등을 의식한 편의적 소극적 회피성 답변 처리가 그 주요 원인으로 판단했다. 이에 현장위주의 민원 검토를 위한 전문기구인 '건축민원 전문위원회'를 시·도 및 시·군·구에 각각 설치하는 방안으로 '건축법' 개정 추진 중이다. 국토교통부는 '법률이 개정되어 시·도 및 시·군·구에 정착되기 전까지는 국토부에서 시범운영하는 것'이라며, '시·도, 대한건축사협회 및 국토부 민원중에서 검토가 필요한 민원을 적극 발굴하여, 시대 착오적인 유권해석과 지자체 재량권 남용 소지 등을 적극 검토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