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미래=조미진 기자] 국토교통부는 한국공항공사와 24일 김포공항에서 ‘글로벌 항공정보종합관리망(SWIM) 워크숍’을 개최한다.
SWIM은 현재 개별적으로 접속 중인 항공정보, 항공기상, 비행계획 및 실시간 항적 등 각종 항공 데이터를 통합해 편리하게 제공해 주는 차세대 항공정보교환 인프라를 뜻한다.
워크숍은 전국의 항공정보 사용자들을 한 자리에 모아 차세대 항공데이터교환시스템 SWIM의 개발 현황 및 향후계획을 공유하고, 김포공항에 설치한 전용시험장(테스트베드) 시연을 통해 UI 및 활용방안에 대한 의견 수렴을 위해 마련됐다.
워크숍에는 전국의 관제기관·항공정보기관, 국방부, 항공기상청, 공항운영자 및 항공사 등 관련기관, 업체의 항공정보업무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한국공항공사(항공연구소)는 SWIM의 도입배경, 적용 전·후 항공정보환경변화, 국내외 추진현황 및 국내 시스템 구축범위 등 운영방안에 대해 발표했.
SWIM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미래항공시스템전환계획(ASBU)’의 핵심과제로써 전 회원국이 개발 및 구축에 동참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6년부터 선도적으로 기술개발을 추진 중이며, 올해에는 전용 시험장 운영 및 한·중·일 3국간 상호 정보교환 테스트를 진행하고, 2020년까지 개발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또, 2017년부터 아시아·태평양지역 전담조직(TF)에 참여해 기술기준, 정보교환모델 개발 등 핵심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 중이며, 오는 5월 태국에서 개최되는 TF회의에서 정보교환모델 개발완료 및 한·중·일 3국간 상호 정보교환 테스트 결과 등 추진성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SWIM은 전세계를 연결하는 고속항공통신망을 통해 각 국가의 모든 항공정보를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이용하게 해주는 도구가 될 것”이라며, “SWIM 개발이 완료되고 실용화되면 항공안전 및 효율성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appiness@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