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남 태양광 발전소/자료=서울시]
서울시가 지난 2012년부터 적극 추진해온 '원전하나줄이기' 사업에 기업·가정·학교 등이 적극 참여하면서 소비감소와 신재생 에너지 생산 확대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원전하나줄이기’ 사업은 전력 대란 등에 대비하고 도시의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산 및 절약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에너지 수요 절감 + 신재생 에너지 생산 확대’를 주요 골자로 한다.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전국 전력사용량이 9.4% 증가한 가운데 서울의 전력사용량은 1.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전력사용량 중 서울이 차지하는 비율도 2010년 10.9%에서 2013년 9.8%로 감소했다. 또, 서울시내 전체 359만여 가구의 월평균 전력소비량의 경우 320kWh(2010년)에서 316kWh(2013년)으로 1.2%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 생산량은 2010년 57GWh에서 2013년 120GWh로 증가했다.
따라서 지난 4년간 전력생산량 변화를 보면 화력에너지를 통한 생산량은 큰 변화가 없는 반면,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생산량은 2배 이상 증가했다. 서울의 전력자립률 향상을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전력생산 설비의 장기적, 지속적 보급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권민 서울시 녹색에너지과장은 '서울시의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해 2020년까지 20%의 전력자립률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 전력생산 설비를 늘리고 에너지 다소비 건물 신축시 전력에너지 자립의무를 부여하는 등 효율은 높이고 소비는 줄이는 다양한 에너지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