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올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하는 정부신뢰도 조사에서 36개 회원국 가운데 역대 최고 성적인 22위에 올랐다. 2017년 32위, 2018년 25위에서 3단계 상승했으며, 2년 연속 순위가 상승했다.
15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OECD는 지난 14일 오전(프랑스 파리 현지 시각) 36개 OECD 회원국의 정부신뢰도 조사결과를 담은 ‘한눈에 보는 정부 2019(Government at a Glance 2019)’를 공개했다. ‘한눈에 보는 정부’는 OECD 회원국들의 정부 활동과 경험, 성과와 과제 등을 담은 보고서로 2년마다 한 번씩 발간된다.
한국의 정부신뢰도는 39%로 2007년 조사 시작 이후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한국의 정부신뢰도는 2007년 24%, 2011년 27%, 2013년 23%, 2015년 34%, 2017년 24%, 2018년 36%였다. 일본(38%, 24위), 프랑스(38%, 25위), 미국(31%, 30위) 등 OECD 주요국보다 높은 수준이다.
OECD 정부신뢰도는 OECD가 국제 여론조사기구인 ‘월드 갤럽 폴’에 의뢰해 조사한다. 신뢰도는 각국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당신은 중앙정부를 신뢰하십니까?’라는 단일 문항 설문을 통해 측정된다. 한국은 ‘귀하는 우리 대한민국 정부를 신뢰하십니까?’ 질문으로 조사가 진행됐다.
진영 행안부 장관은 “국민이 요구하는 포용‧공정의 가치를 정책과 서비스로 구체화하고, 정부혁신을 통해 공직사회의 관행과 제도를 과감히 개선해 정부에 대한 신뢰를 계속해서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