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촉새는 촉새의 아종으로 일본, 사할린, 쿠릴열도 등에서 번식하고 우리나라 소매물도 등 남해안 섬 지역을 중심으로 적은 수가 월동, 통과하는 새다.
국립공원공단 연구진은 지난 달 3일 한려해상국립공원 통영 소매물도에서 가락지가 부착된 섬촉새 1마리를 포획했다.
가락지는 일본 야마시나조류연구소가 지난해 10월24일 일본 후쿠이현 나카이케미 습지에서 가락지를 부착해 방사한 개체임이 알려졌다.
섬촉새는 일본에서부터 우리나라까지 직선거리로 약 700km를 이동했고,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보내기 위해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국립공원공단은 2005년부터 철새 이동경로를 밝히기 위해 철새 가락지부착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작년까지 15년 동안 254종 약 8만8000개체의 조류에 일련번호가 기록된 가락지를 부착했다.
지금까지 가락지부착 조사를 통해 이동경로를 확인한 새는 총 21종 34개체로 이들 중 우리나라와 일본 간 이동이 확인 새는 10종 19개체로 약 56%를 차지한다. 이는 일본의 가락지부착조사가 다른 나라에 비해 활발하다는 이유에서다.
이동거리가 확인된 가장 가까운 거리는 일본 나가사키현에서 가락지를 부착하여 전남 신안군 흑산도에서 발견된 '되새'로 478km를 이동했으며, 가장 멀리 이동한 새는 호주 브룸만에서 날아온 '붉은어깨도요'로 직선거리 5839km를 날아왔다.
#국립공원공단 #이동경로 #섬촉새 #일본 #가락지 #나가사키현 #남해안 #연구진
gpdms123@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