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흥지구 융·복합 R&D클러스터 입지도/자료=경기도]
경기도가 지난 4월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 해제 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된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 일부 지역을 판교와 같은 첨단연구단지로 개발한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13일 기자회견에서 경기 서부지역의 성장을 이끌 첨단연구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첨단연구단지 조성사업 구역은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 해제지역 내로 개발 면적은 약 66만㎡(20만 평)로 총 9,40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경기도는 이 지역을 판교와 같은 첨단연구단지로 조성하기 위해 주거용지를 원천 배제하고 국·내외 첨단기업들의 연구·업무시설뿐 아니라 종사자들을 위한 휴식·문화·엔터테인먼트 시설 등이 복합된 공간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또한 연구단지 설계단계부터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 시설인 스마트그리드(Smart Grid)와 사물인터넷(IoT) 등을 도입한다. 이 밖에도 판교테크노밸리와 차별화할 수 있는 자동차부품, 기계, 화학, 지능형 로봇 관련 R&D기능을 도입하고 컨설팅, 금융 등 창업·기업지원 서비스와 근로자 교육 및 교류 공간도 마련할 예정이다.
도는 이번 첨단연구단지 조성으로 직접적인 고용유발 약 4,600명, 생산유발 약 6,400억 원, 부가가치 유발 약 2,800억 원 정도가 발생해 침체된 지역경제에 큰 활력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첨단연구단지 개발이 완료되면 약 900개사의 입주가 가능하며 7만 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구체적인 개발후보지는 3군데를 검토 중이며 전체 지구 개발계획, 기업체의 선호, 지역 주민의 의견수렴 등을 거쳐서 결정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광역기반시설 설치에 대한 국토부 등 정부의 적극적인 협조를 얻어 행정절차 등을 조속히 이행·추진할 계획이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이 사업은 경기도가 더 큰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는 사업으로 해당 지역 주민과 국회의원, 중앙정부 등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당부한 뒤 “지난 9일 국토부 장관을 만나 이번 사업구상을 소개하고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