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부동산114]
2012년 이후 상승세를 이어갔던 세종시 아파트 전세시장 가격폭등에 제동이 걸렸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4년 1월 세종시 전셋값이 0.39%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때 세종 정부청사 이전에 따른 공무원 수요로 전세난을 겪었던 세종시가 작년 12월 아파트 1,944세대가 한꺼번에 입주를 시작하면서 전셋값이 반락하기 시작한 것이다. 또 향후 2015년까지 3만1,000여 세대가 입주를 계획하고 있어, 세종시 아파트 전셋값이 물량 부담으로 가격조정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2012년 9월 세종 정부 청사 1차 이전과 맞물리면서, 10월 한 달 동안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이 6.12%를 기록했다. 청사 인근에 전셋집를 구하지 못한 공무원들은 매매로 전환하여 거래하거나 세종시로 통근이 가능한 청원이나 청주, 대전 등 인근지역으로 전셋집 구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세종시 아파트 전셋값은 꾸준히 상승해, 세종 정부청사 1차 이주 시점인 2012년 9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무려 29.75% 올랐다. 동기간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14.18% 올랐던 것에 비교하면 세종시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반면 올해 세종시 아파트 전셋값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월 한달 동안 -0.39%를 기록하며 그동안의 상승세를 마감했다. 부동산 114는 작년 12월에 세종 청사와 가까운 아파트가 입주를 시작하며 전세 매물이 한꺼번에 시장에 나왔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게다가 예상보다 학교나 병원 등 생활편의시설이 확충되지 않자 아파트를 분양받은 공무원들이 세종시로 이주하지 않고 수도권에서 출퇴근하며 분양받은 아파트를 전세로 내놓고 있는 것도 전셋값 하락을 부추겼다고 전했다.
서성권 연구원은 '2011년부터 분양열풍을 일으키며 공급됐던 세종시 아파트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입주를 시작한다'라며, '향후 2년 동안 아파트 입주물량이 3만 1000여 세대에 달해 세종시 아파트 전셋값이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당장 입주물량이 증가한다고 해도 급격한 전셋값 폭락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세종시 생활 기반 시설이 개선되면 세종시로 이주 인구가 늘어날 것이고, 세종 청사 1차 이전 때 전셋집을 구하지 못해 청원이나 청주, 대전 등 인근지역에 거처를 구했던 공무원들이 재계약을 맞는 올해 하반기에는 청사와 가까운 세종시로 전셋집를 구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