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시사터치

‘AI 지능형정부 구현’ 범정부적 협의 개시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 적용, 로드맵 수립 목표

조미진 기자   |   등록일 : 2018-11-19 16:15:03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조미진 기자]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그 외 중앙 부처, 지자체가 힘을 함체 ‘지능형정부 로드맵 추진계획’을 위해 활동을 개시했다.

 

19일 행안부는 당일부터 20일까지 서울청사와 세종청사에서 중앙부처, 지자체 정보화담당 및 업무담당자 150여명과 함께 지능형정부 로드맵 추진계획 공유 및 실행과제를 논의하는 범정부 협의체를 발족했다고 밝혔다. 

 

행안는 9월부터 지능형정부 청사진을 제시하는 로드맵 수립 사업을 추진 중이며 국민, 학계 및 업계 등 민간전문가로부터 요구사항·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또 전자정부 서비스를 일선에서 운영중인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무원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지난 10월 추진과제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했고 37개 기관으로 부터 52개 과제를 제출받았다. 

 

기관 수요조사 결과 과제수가 가장 많은 분야는 행정업무 및 법규 안내, 민원상담 등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대국민 민원 챗봇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국민생활, 재난·재해, 범죄예방, 시설물 등 사회 각 분야에 인공지능, IoT 등 지능정보기술과 CCTV 등 기반인프라를 결합해 국민 안전을 확보하는 과제가 많았다.

 

또 독거노인, 취약계층 등을 위한 사회복지 분야와 국고보조 부정수급 방지 등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정부 업무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과제도 다수 제출됐다. 

 

행안부 관계자는 “로드맵 수립 과정에 전자정부 실무를 가장 아는 업무담당자들이 참여하게 돼 실효성 높은 서비스가 발굴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정부가 향후 인공지능 같은 지능정보기술을 행정전반에 적용해 국민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중앙부처와 지자체의 많은 관심과 협조를 바란다”고 말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