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TX 개통구간 노선도/자료=국토교통부]
내달 2일부터 수도권과 포항을 2시간대로 연결하는 포항KTX가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1918년 11월 포항에 협궤철도역이 들어선 지 약 100년 만에 고속철도시대를 맞는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포항 KTX 노선을 착공 5년 만에 완공, 개통식을 갖는다고 밝혔다.
개통식은 3월 31일 신포항역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개통식에는 이완구 국무총리, 유일호 국토교통부장관, 이병석 정치개혁특별위원장, 김관용 경북도지사, 이강덕 포항시장 등 정·관계 인사와 지역주민 등 총 800여 명이 참석해 포항 KTX 개통을 축하할 계획이다.
경제·산업도시 포항은 대한민국의 근대화를 견인하고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통여건이 좋지 못해 지역발전에 걸림돌이 되어 왔다. 정부는 기반시설이 부족한 경북 동해안 및 포항시의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국토의 균형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포항 KTX 건설 사업을 추진하였다.
포항 KTX 노선은 총 38.7km로 동해선 신경주∼포항구간은 2009년에 착공, ‘경부고속철도와 동해남부선 연결공사’는 2011년에 착공하였으며, 그동안 총사업비로 1조 2,126억 원이 투입됐다. 연인원 144만 명이 동원되었으며, 굴삭기 등 중장비 21만 6천 대, 레미콘 103만㎥, 철강재 42천 톤이 투입되었다. 또한 경부고속철도와 연결되는 동해남부선 신경주~포항구간도 고속화 투자를 통해 운행속도를 증대(150km/h→200km/h)시켜 KTX 운행 효율을 제고하였다.
그동안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9월부터 개통·운영준비 종합계획 수립하여 총 9개 분야, 32개 단위업무로 개통준비 추진체계를 구분하여 관리해 왔다. 특히, ’14.9월부터 운영 중에 있던 개통·운영 준비 전담조직을 ’15.1월 관련 부서, 지자체를 포함하여 확대·개편하였고, 합동 점검회의를 단계별로 실시하는 등 개통에 차질이 없도록 만반의 준비를 해왔다.
포항KTX 개통으로 서울에서 포항까지 기존 새마을호 기준 5시간 20분이 걸리던 것이 2시간 15분으로 3시간 5분이 단축되어, 경북 동해안 지역의 교통여건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포항과 경북 동해안 지역 발전의 전기가 마련될 전망이다. 서울∼포항간 KTX는 ’15.3.31(화)일부터 일부열차를 운행할 계획이며, 4월 2일부터는 주중 16회, 금요일 18회, 토·일 20회 운행되며, 인천국제공항까지도 매일 2회 운행하게 된다.
특히, 포항시 북구 이인리에 지상 3층, 연면적 6천 232㎡ 규모로 신축된 KTX 포항역사는 외관을 고래와 파도를 형상화해 포항시의 역동성과 철강도시를 상징하도록 하였으며 총공사비 295억 원을 투입하여 준공하였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 포항 KTX 개통으로 포항지역도 경부고속철도가 개통한 지 11년 만에 고속철도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고, 경북 동해안권 철도 교통망 구축으로 환동해권 교통․물류의 중심도시로 도약할 계기가 될 것”이라 밝혔다. 또한 “이번 개통하는 구간은 향후 부산∼울산∼포항을 거쳐 영덕, 삼척까지 연결하는 동해선 철도사업의 일부로서 향후 북한을 거쳐 원산, 나진, 유라시아를 달려 유럽까지 이어질 대륙철도로서 정부에서 추진 중인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사업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