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미래=정범선 기자] 경기도가 미세먼지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4년 안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33%까지 개선하겠다는 방침이다.
30일 도는 오는 2022년까지 미세먼지 농도를 18㎍/㎥까지 줄이는 내용을 담은 ‘새로워진 경기도 미세먼지 저감종합대책’을 확정·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27㎍/㎥이었던 미세먼지 농도를 33% 개선시키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49개 사업에 총사업비 1조7671억 원이 투입된다.
도는 △이동오염원 관리강화를 통한 미세먼지 근본적 저감 △생활 주변 미세먼지 발생원 집중관리 △사업장 배출시설 관리 선진화를 통한 미세먼지 감축 △민감계층 중심 맞춤형 환경복지사업 확대 △과학적 관리기반 구축을 통한 미세먼지 대응역량 강화 △국내외 협력강화로 대기질 개선 등 ‘6대 추진 전략’을 수립했다.
추진분야는 ‘이동오염원 관리’, ‘생활주변 관리’, ‘사업장 관리’, ‘환경복지 확대’, ‘과학적 기반 구축’, ‘국·내외 협력강화’ 등 6개 분야로 분야별로 총 20개 중점 과제를 추진한다.
추진사항으로 4638대인 전기자동차를 오는 2022년까지 3만대 규모로 확대하고 공기정화 기능이 있는 수소차 620대와 수소차 충전소 6개소를 보급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 ‘생활주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공사장, 도로변 등의 비산먼지를 집중 관리하는 한편 가정용 및 산업용 저녹스 버너보급 확대, 폐기물 불법소각행위 근절을 위한 단속강화와 신고포상금 지급확대, 조림사업 확대 등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미세먼지 배출원에 대한 분석과 예산확보 가능성, 중앙 및 인접 시도와의 협업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마련한 대책인 만큼 효율적인 추진을 통해 미세먼지에 대한 도민 불안감을 해소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