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가 오는 11일부터 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정부가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
국토교통부는 철도노조가 지난 9월18일 노사 간 임금교섭 결렬로 오는 11일 오전 9시부터 14일 오전 9시까지 72시간 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이에 따른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방부 등 관계기관과 함께 비상수송대책을 수립, 시행한다고 7일 밝혔다.
국토부는 출퇴근 광역전철과 KTX에 철도공사 직원과 군 인력 등 동원 가능한 대체인력을 투입해, 열차운행횟수를 최대한 확보할 계획이다.
광역전철은 평시 대비 88.1% 운행할 예정이다. 14일 출근 시에는 평시와 같은 수준으로 정상 운행토록 했다. 고속철도의 경우, KTX 운행률은 평시 대비 72.4%로 낮아지지만 파업을 하지 않는 SRT(수서고속철도)를 포함한 전체 운행률은 평시 대비 81.1% 수준이다.
일반열차는 필수유지운행률인 60% 수준으로 열차를 운행하고, 화물열차는 필수유지업무가 아닌 대체인력만으로 운영되어야하므로 수출입 및 산업 필수품 등 긴급 화물 위주로 수송한다. 철도공사 내부에서 대체 기관사 358명을 투입해 평시 대비 36.8%로 운행한다.
또 철도노조 파업으로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자체, 버스업계 등의 협조를 통해 고속버스·시외버스 등 대체교통수단도 최대한 활용할 예정이다.
버스업계는 고속버스 탑승률은 약 56%로 일평균 여유 좌석은 약 9.3만석, 시외버스 탑승률은 약 47%로 63만석의 여유가 있어 고속열차 및 일반열차 운행 취소로 인한 대체수요를 상당부분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체수요가 여유좌석을 초과하는 경우 예비버스(125대)와 전세버스(300대)를 투입해 초과수요를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철도공사와 연계, 운행하는 1·3·4노선의 열차운행횟수를 24회 늘리고, 열차 지연 및 혼잡도 증가 등 승객 수송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예비용 차량 5편성을 긴급 투입해 파업에 따른 비상수송대책을 지원키로 했다. 시내버스 수요가 20%이상 증가하는 노선에 대해서는 버스 운행횟수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인천시는 필요시 경인선(구로∼인천), 수인선(오이도∼인천) 구간에 광역버스 차량을 추가 투입할 계획이며, 경기도는 출퇴근 시간에 버스를 집중적으로 배차하거나 광역전철 노선별 이용수요 증가 추이를 지속 살피면서 이례상황 발생 시 예비버스 및 전세버스 투입 등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국토부는 지난 4일부터 비상대책반을 운영 중이며, 9일부터 이를 확대해 정부합동비상수송대책본부를 운영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임금협상 결렬로 파업을 하게 되면 그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이 떠안게 되므로 철도공사 노사는 파업이 발생하지 않도록 협상에 임해줄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